열반 смотреть последние обновления за сегодня на .
*자막에 깨짐 현상이 있습니다. 원본 파일 문제이니 양해 부탁드립니다 :) [열반을 실현 시키는 길 : 네 가지 마음 챙김의 확립 / 부처님의 수행 방법은 얼마나 하면 되는가] ▶[#극장판] 열반을 실현 시키는 길 : 네 가지 마음 챙김의 확립 [디가니까야] #마음챙김확립의긴경 #BBS애니메이션 #극장판 #사념처에서팔정도까지 ▶비구들이여, 애초에 내가 '중생들을 청정하게 하고 근심과 탄식을 뛰어넘게 하며 육체적 고통과 정신적 고통을 사라지게 하고 바른 방도를 얻게 하고 열반을 실현 시키는 하나의 길이 있으니 곧 '네 가지 마음챙김의 확립이니라' 라고 한 것은 이러한 성취를 근거로 설한 것이니라" ▶2014년 방송 된 [경전의 숲을 거닐다]에 소개 된 내용입니다 (경전 낭독 : BBS 장수연 아나운서) 1. Dtgha Nikaya : 디가 니까야(長 部) 2. Majjhima Nikaya : 맛지마 니까야(中 部) 3. Samyutta Nikaya : 쌍윳다 니까야(相應部) 4. Ahguttara Nikaya : 앙굿따라 니까야(增支部) 5. Khuddaka Nikaya : 쿠다카 니까야(小 部) ▶BBS불교방송 Buddhist Broadcasting System 1990년 5월 1일 지상파라디오방송 개국/ 2008년 불교전문 BBSTV 개국 [불교계 유일, 비영리재단이 운영하는 공익방송 BBS불교방송입니다!] 만공회 후원(보시)와 방송광고수입을 방송포교불사로 환원하는 불교계 유일의 비영리재단 ‘공익방송' ▶불교방송 유튜브 구독하기 : 🤍 ▶불교방송 후원 '만공회' 가입하기 🤍 ▶한국불교의 미래를 만드는 방송포교후원 동참 발원 1855-3000 (가입문의 / BBS 후원상담실) ▶ BBS 불교방송을 만나는 더 다양한 방법! 앱 다운로드 : 구글 플레이스토어, 아이폰 앱스토어 홈페이지: 🤍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연계채널: 불교방송NEWS, 보이는라디오, BBS플러스, 닥잠
#깨달음 #열반 #참나 단예소피아 추천채널 [아리수가 유튜브] 🤍 [아리수가 공식블로그] 🤍 [동영상 자료 글 원본] 존재한다는 말은 어떤 프로그램으로 설정되었다는 말과 같습니다. 설정되지 않고 존재하는 것은 없으니까요. 길거리에 나뒹구는 돌멩이 역시 자신만의 프로그램으로 단단하게 고정되어 있지 않던가요? 식물이나 동물로 가면 그 설정값은 더욱 치밀해집니다. 더 나아가 사람에 이른다면 그 정교함은 이루 말할 수가 없겠지요. 그렇다면 당신은 어떻게 프로그램되어 있을까요? 물리학적, 생물학적 프로그램은 차치하고 두뇌의 프로그램만 한번 따져 봅시다. 두뇌의 프로그램은 간단하게 말하면 개체에게 유리한 방향으로 생각하게끔 설정되어 있습니다. 당연히 그래야만 생존에 유리할 테니까요. 그렇다면 나에게 유리한 방향이 무얼까요? 그것은 대체로 권욕(勸慾)과 물욕(物慾)과 색욕(色慾)을 충족하는 것입니다. 그러면 이것들보다 더 유리한 것이 있을까요? 당연히 있습니다. 그것은 바로 괴로움이 소멸된 열반의 경지입니다. 그래서 두뇌의 프로그램은 열반에서 정점을 찍습니다. 이것이 열반을 파는 종교들이 쏟아져 나오게 된 이유입니다. 천국과 극락, 구원, 영생 같은 것들도 열반과 동일한 성분으로 되어 있는 상품들이지요. 그렇다면 수행자들은 어떨까요? 그들 역시 세속의 일반 사람들과 똑같습니다. 하나같이 괴로움을 소멸해 열반에 이르는 것을 꿈꾸니까요. 이들은 열반이 목적이기 때문에 항상 열반을 잣대로 진리를 가늠하게 됩니다. 열반에 이르도록 가르쳐야 정법이고, 열반에 이른 사람처럼 행동해야 깨달은 사람이 되는 것이지요. 목적이 열반에 있다 보니 눈과 귀 또한 여기에만 민감하게 반응합니다. 누군가 상품을 팔 때 열반의 성분을 듬뿍 담아야만 관심을 갖게 됩니다. 반면에 열반의 성분이 적거나 아예 포함되지 않으면 관심을 뚝 끊습니다. 심지어 엉터리 상품이라고 비난까지 하게 되지요. 세존이 無我論을 들고나왔을 때도 이런 현상이 심했습니다. 無我論 자체가 열반의 함량을 모두 빼 버린 것이니까요. 자성(自性)이 없는데 어떻게 열반이 있을 수 있겠습니까! 그래서 세존은 無我論만 거론하면 세상에 단 한 사람도 이 상품에 관심을 갖지 않을 것으로 봤습니다. 無我論을 전달하기 위해서는 방편을 쓸 수밖에 없었던 것이지요. 그래서 어쩔 수 없이 ‘괴로움의 소멸’, 다시 말해 열반을 포장지로 선택했습니다. 이렇게 해서 간신히 초기불교를 이루게 된 것입니다. 하지만 문제는 세존의 사후에 발생합니다. 열반의 포장지를 벗겨내면 내용물이 나오는데 그것이 無我論입니다. 사람들의 눈에 포장지는 기가 막힌 명품인데 내용물은 한낱 돌멩이로 보였던 것이지요. 마치 택배 사기를 당한 것 같은 분노를 느끼기에 충분했던 것입니다. 그래서 수행자들은 점차 내용물에 손을 대기 시작합니다. 돌멩이에 색칠을 해서 힌두교의 진주처럼 바꿔 놓았고, 이름도 참나, 본성, 불성 등으로 붙였습니다. 물론 모든 수행자들이 내용물을 변형시킨 것은 아닙니다. 일부 수행자들은 내용물이 돌멩이인 이유, 다시 말해 無我가 空한 이유에 대한 철학적 접근을 하게 됩니다. 이렇게 해서 나온 것이 반야부(般若部)의 空사상인 것이고요. 이처럼 세존의 無我論은 두 갈래로 나뉘게 됩니다. 전자는 無我論을 왜곡해서 참나와 불성을 만들어내는 쪽으로, 후자는 ‘나’의 실체가 없는 이유에 대해 철학적 해석을 가하는 쪽으로 갈린 것입니다. 왜 세존의 無我論을 있는 그대로 보지 못하는 것일까요? 그건 앞서 말했듯, 사람들은 보고 싶은 것만 보고 듣고 싶은 것만 듣기 때문입니다. 우리의 사고는 원래부터 그렇게 프로그램되어 있으니까요. 당신은 무엇을 보고 싶으신가요? 당신은 무엇을 듣고 싶으신가요? 꿀물처럼 달콤한 참나의 열반인가요? 아니면 맹물처럼 담백한 無我의 진리인가요?
#부처님오신날 편견없는 그녀와 열반중인 남자의 사랑이야기 With. FEELRENTAL She is 🤍
#열반 #무주처열반 #보살 초기불교 열반은 아라한이 되어 그 생이 다 한 후 다시는 태어나지 않는 것입니다. 깨달음을 얻어 아라한이 되면 번뇌는 모두 소멸되지만 몸과 마음은 아직 남아 있습니다. 이를 유여열반이라 합니다. 그리고 아라한이 수명이 다 하셔서 몸과 마음도 소멸되어 다시는 태어나지 않게 되면, 그때를 진정한 괴로움(오온, 몸과 마음)의 소멸인 무여열반이라 합니다. 보통 아라한이 되어 몸이 소멸하면 다시는 태어나지 않는 것을, 존재들이 죽으면 다시는 태어나지 않는 단견과 혼동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경전에도 야마까라는 스님께서 비슷한 사견을 가지신 이야기가 나옵니다. “도반 야마까여, 그대에게 ‘내가 세존이 설하신 법을 깊이 이해하기로는 번뇌가 사라진 비구는 몸이 무너지면 단멸(斷滅)하고 파멸하여 죽은 후에는 더 존재하지 않는다.’라는 이러한 삿된 견해가 일어난 것이 사실입니까?” “그렇습니다, 도반들이여. 내가 세존이 설하신 … 더 존재하지 않습니다.” “도반 야마까여, 그렇게 말하지 마시오. 세존을 비방하지 마시오 … 말씀하지 않으셨기 때문입니다.” 「야마까 경」(S22:85) 부처님께서는 '죽은 후에는 더이상 존재하지 않는다'라는 식으로 표현하면 '존재'가 실체하여 있었다가 사라지는 것으로, 나라는 것이 있었다가 사라지는 것으로 잘못 이해될 것을 우려하셔서, 이런 표현은 쓰지 않으셨습니다. 그래서 '여래는 사후에 존재하는가 존재하지 않는가' 하는 질문에도 대답을 하지 않으셨습니다. (여래는 사후에 존재하지 않는다고 말하면 여래라는 실체가 존재했다가 사라졌다고 잘못 알 수 있기 때문에.) 대신 부처님께서는 우리가 나라고 착각하는 이 몸과 마음, 오온을 괴로움이라 하셨습니다. 그렇기에 아라한이 되어 반열반에 들면 어떻게 되는가? 이에 대해 사리뿟다 존자님에게 교계를 받은 야마까 비구는 바른 견해를 가지고 다음과 같이 말씀하십니다. ‘다섯 무더기는 무상합니다. 무상한 것들은 괴로움이요, 괴로움인 것은 소멸하였고, 사라졌습니다.’ 즉 사후에 여래가 존재하지 않는 것이 아니라, 괴로움이 사라진 것일 뿐입니다. 이와 같이 초기불교에서 열반은 오온의 완전한 소멸입니다. 그런데 위대하신 부처님께서 반열반에 드신 후, 사람들은 부처님의 부재로 인한 공백에 크게 힘들어하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그런 부처님에 대한 그리움과 애정이 강해지다보니, 어느순간 부처님은 사실 돌아가신 것이 아니라 여전히 존재하신다는 생각들이 퍼지게 되었습니다. 부처님은 영원히 계신다고 여기게 된 것이지요. 그 중 하나가 삼신(三身)사상입니다. 고타마 부처님으로 왔다 가신 분은 사실 화신으로, 진짜 부처님은 진리 그 자체인 법신(法身)으로 항상 존재한다고 여긴 것입니다. 그리고 이 법신은 오랜 시간 보살행을 통해 부처가 되시고 현생과 내생에 중생들을 구원해주시는 보신(報身)으로 계시기도 하며 (ex 아미타불), 석가모니 부처님처럼 인간계에 몸을 받고 태어나신 화신(化身)으로 오시기도 한다고 여기게 되었지요. 그러니 태어나고 죽은 것처럼 보이는 것은 이 화신의 부처님이고, 실체 부처님은 법신으로 여여하게 계시는 것입니다. 그래서 초기에는 그저 부처님을 기리기 위해 모셨던 부처님의 유골[dhātu], 불사리에도 법신이 깃들어 있다고 여기게 되었지요. 이렇게 영원한 붓다에 대한 희구가 또 잘 드러난 사상이 무주처열반(無住處涅槃)입니다. 생사에도 머물지 않고 열반에도 머물지 않는 열반이라는 이 무주처열반은, 번뇌가 소멸하여 열반에 이른 후에도 중생구제의 원력으로 다시 계속 태어나면서 중생구제에 힘쓰는 상태입니다. 이때 수행자의 육체는 법신으로 전의轉依)되면서 육체에 제약을 받지 않고 계속 존속할 수 있게 된다 보았습니다. 이처럼 대승불교에서는 붓다의 세계(법계)와 깨달음의 지혜는 존속한다고 여기게 되었지요. 이와 같이 불교가 발전하면서, 깨달은 이는 어떻게 되는가, 즉 열반이란 무엇인가에 대해 새로운 해석들이 등장하게 되었습니다. ◆ 제따와나선원 홈페이지: 🤍 네이버카페 : 🤍 제따와나선원 후원하기 🤍 시청 후 남겨주시는 댓글 한 줄이 부처님의 가르침을 널리 알리는 데에 큰 도움이 됩니다. 모든 존재들이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기를 바랍니다.
▶|#극장판| 완전한 열반의 큰 경 : 열반에 드실 시간입니다 #BBS애니메이션 #부처님열반 #출가재일 #열반재일 #전쟁과평화 ▶극장판 : 긴 경전 이야기을 하나의 영상으로 보여드립니다 ▶[디가니까야 : 완전한 열반의 큰 경] 마가다국의 왕이며 베데히 왕비의 아들인 아자따삿뚜가 나날이 번창하고 있는 이웃나라인 밧지국을 공격하려 하고 있었다 그는 마가다국의 대신인 밧싸까라 바라문을 불러 이렇게 말했다 "그대는 지금 세존을 찾아뵙고 나를 대신하여 극진하게 안부를 여쭌 다음 마가다국의 왕 아자따삿뚜가 밧지국을 멸망시키려한다고 전하시오" ▶불교방송 유튜브 구독하기 (아래 주소를 누르시면 구독하실 수 있습니다) 🤍 [불교계 유일, 비영리재단이 운영하는 공익방송 BBS불교방송입니다!] ▶ BBS불교방송Buddhist Broadcasting System 1990년 5월 1일 지상파라디오방송 개국 2008년 불교전문 BBSTV 개국 만공회 후원(보시)와 방송광고수입을 방송포교불사로 환원하는 불교계 유일의 비영리재단 ‘공익방송’ ▶ BBS불교방송 후원 만공회 가입하기 (아래 링크를 누르시면 만공회 공덕주가 되실 수 있습니다) 🤍 한국불교의 미래를 만드는 방송포교후원 동참 발원 전화 가입문의는 1855-3000 (BBS 후원상담실) ▶ BBS 불교방송을 만나는 더 다양한 방법! 앱 다운로드: 구글 플레이스토어, 아이폰 앱스토어 홈페이지: 🤍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연계채널: 불교방송NEWS, 보이는라디오, BBS플러스, 닥잠
#열반 #호텔 #수영장 편견없는 그녀와 열반중인 남자의 사랑이야기 With. FEELRENTAL She is 🤍 Oil man is 🤍
【 앵커멘트 】 '살아있는 부처'로 추앙받은 틱낫한 스님이 향년 95세로 열반했습니다. 평화 운동가이기도 했던 틱낫한 스님은 세 차례 방한하는 등 한국과의 인연도 깊었습니다. 정설민 기자가 보도합니다. 【 기자 】 세계적 불교 지도자인 틱낫한 스님이 향년 95세로 열반했습니다. 베트남 출신인 틱낫한 스님은 티베트의 달라이 라마와 함께 '살아있는 부처'로 꼽혔습니다. 불교 원리를 정치와 사회 개혁에 적용하는 '참여불교' 운동으로 전 세계에 큰 반향을 일으켰습니다. ▶ 인터뷰 : 틱낫한 / 불교 지도자 (2004년) - "당신의 공동체는 사회 개혁을 위한 강력한 도구가 될 것이고, 당신은 최고의 의지를 갖추게 될 것입니다." 1960년대 반전 운동을 벌이다 베트남에서 추방된 뒤 오랜 기간 망명생활을 했습니다. 틱낫한 스님과의 만남에서 큰 감명을 받은 마틴 루서 킹 목사가 그를 노벨평화상 후보로 추천하기도 했습니다. 프랑스에서 주로 활동한 틱낫한 스님은 2014년 뇌졸중으로 쓰러진 뒤 2018년 고국인 베트남으로 돌아왔습니다. 우리나라와 인연도 깊었습니다. ▶ 인터뷰 : 틱낫한 / 불교 지도자 (2003년) - "우리 안에 평화가 있으면 그것을 바탕으로 우리 바깥의 평화도 함께 일굴 수 있습니다." 세 차례 한국을 방문해 평화의 메시지를 전했으며, '화'와 '귀향' 등 수많은 베스트셀러로 잘 알려져 있습니다. 문재인 대통령은 틱낫한 스님이 실천하는 불교운동가였다며, 깊은 애도의 마음을 전했습니다. MBN뉴스 정설민입니다. [jasmine83🤍mbn.co.kr] 영상편집 : 김상진 화면제공 : 플럼빌리지 #MBN #틱낫한스님 #살아있는부처 #정설민기자 ☞ MBN 유튜브 구독하기 ☞ 🤍 📢 MBN 유튜브 커뮤니티 🤍 MBN 페이스북 🤍 MBN 인스타그램 🤍
【 앵커멘트 】 '살아있는 부처'로 추앙받은 틱낫한 스님이 향년 95세로 열반했습니다. 평화 운동가이기도 했던 틱낫한 스님은 세 차례 방한하는 등 한국과의 인연도 깊었습니다. 정설민 기자가 보도합니다. 【 기자 】 세계적 불교 지도자인 틱낫한 스님이 향년 95세로 열반했습니다. 베트남 출신인 틱낫한 스님은 티베트의 달라이 라마와 함께 '살아있는 부처'로 꼽혔습니다. 불교 원리를 정치와 사회 개혁에 적용하는 '참여불교' 운동으로 전 세계에 큰 반향을 일으켰습니다. ▶ 인터뷰 : 틱낫한 / 불교 지도자 (2004년) - "당신의 공동체는 사회 개혁을 위한 강력한 도구가 될 것이고, 당신은 최고의 의지를 갖추게 될 것입니다." 1960년대 반전 운동을 벌이다 베트남에서 추방된 뒤 오랜 기간 망명생활을 했습니다. 「틱낫한 스님과의 만남에서 큰 감명을 받은 마틴 루서 킹 목사가」 그를 노벨평화상 후보로 추천하기도 했습니다. 프랑스에서 주로 활동한 틱낫한 스님은 2014년 뇌졸중으로 쓰러진 뒤 2018년 고국인 베트남으로 돌아왔습니다. 우리나라와 인연도 깊었습니다. ▶ 인터뷰 : 틱낫한 / 불교 지도자 (2003년) - "우리 안에 평화가 있으면 그것을 바탕으로 우리 바깥의 평화도 함께 일굴 수 있습니다." 세 차례 한국을 방문해 평화의 메시지를 전했으며, 「'화'와 '귀향' 등 수많은 베스트셀러로 잘 알려져 있습니다.」 문재인 대통령은 틱낫한 스님이 실천하는 불교 운동가였다며, 깊은 애도의 마음을 전했습니다. 「MBN뉴스 정설민입니다. [jasmine83🤍mbn.co.kr]」 영상편집 : 김상진 화면제공 : 플럼빌리지 #MBN #틱낫한스님 #살아있는부처 #정설민기자 ☞ MBN 유튜브 구독하기 ☞ 🤍 📢 MBN 유튜브 커뮤니티 🤍 MBN 페이스북 🤍 MBN 인스타그램 🤍
#열반 #노래방 #평화 편견없는 그녀와 열반중인 남자의 사랑이야기 With. FEELRENTAL She is 🤍
📌관련영상 바로가기(부처님열반) 🤍 ▶BBS불교방송 Buddhist Broadcasting System 1990년 5월 1일 지상파라디오방송 개국/ 2008년 불교전문 BBSTV 개국 [불교계 유일, 비영리재단이 운영하는 공익방송 BBS불교방송입니다!] 만공회 후원(보시)와 방송광고수입을 방송포교불사로 환원하는 불교계 유일의 비영리재단 ‘공익방송' ▶불교방송 유튜브 구독하기 : 🤍 ▶불교방송 후원 '만공회' 가입하기 🤍 ▶한국불교의 미래를 만드는 방송포교후원 동참 발원 1855-3000 (가입문의 / BBS 후원상담실) ▶ BBS 불교방송을 만나는 더 다양한 방법! 앱 다운로드 : 구글 플레이스토어, 아이폰 앱스토어 홈페이지: 🤍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연계채널: 불교방송NEWS, 보이는라디오, BBS플러스, 닥잠
📌풀영상 바로가기 🤍 ▶BBS불교방송 Buddhist Broadcasting System 1990년 5월 1일 지상파라디오방송 개국/ 2008년 불교전문 BBSTV 개국 [불교계 유일, 비영리재단이 운영하는 공익방송 BBS불교방송입니다!] 만공회 후원(보시)와 방송광고수입을 방송포교불사로 환원하는 불교계 유일의 비영리재단 ‘공익방송' ▶불교방송 유튜브 구독하기 : 🤍 ▶불교방송 후원 '만공회' 가입하기 🤍 ▶한국불교의 미래를 만드는 방송포교후원 동참 발원 1855-3000 (가입문의 / BBS 후원상담실) ▶ BBS 불교방송을 만나는 더 다양한 방법! 앱 다운로드 : 구글 플레이스토어, 아이폰 앱스토어 홈페이지: 🤍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연계채널: 불교방송NEWS, 보이는라디오, BBS플러스, 닥잠
- 홍익학당 네이버 카페 (🤍 - 홍익학당 페이스북 (🤍 - 홍익학당 후원하기 국민은행 879601-01-245696 (흥여회) - 문의전화 02-322-2537 본 동영상은 흥여회 후원으로 만들어지고 있습니다. 많은 사람들에게 알릴 수 있게 도와주신 '흥여회원' 분들께 감사드립니다.
- 홍익학당 네이버 카페 (🤍 (160221 일요 수련모임중) 열반에 든다는 게 뭔지 잘 모르세요. 열반은 삼계에서 사라지는 것입니다. 한 생각도 일으키지 않는 상태로 들어가는 것입니다. 초기불교에서는 열반이라고 하는데, 대승에서 말하는 순수 참나 상태로 들어가는 것입니다. 원하세요? 이 세속을 완전히 떠나서 참나, 열반 상태만 들어가면 여러분의 개성도 없어요. 여러분의 존재가 사실 사라지는 겁니다. 사라지는 게 아니다, 열반은 있지 않냐, 사라지는 게 아니지만 사라지는 거예요. 그게 원하시는 건지? 여러분 가서 위빠사나 배우고 하실 게 아니라 팜플렛을 좀 보세요. 뭐라고 되어 있는지. 아라한의 경지가 뭔지 아시고 가셔야죠. '저는 이걸 원한 건 아니었는데요.' 나중에 그러지 마시고, 열반이 뭔지 아시고 그걸 원하셔야죠. 대승보살이 말하는 열반은 뭐죠? 무주열반無住涅槃, 집착 없는 열반이라고 합니다. 주住가 '머줄 주'자죠. 집착 없는 열반. 이건 5온 상태가 그대로 열반이라는 소립니다. 5온에 집착만 하지 않으면 그대로 열반이라는 얘기고요, 어떤 고정된 열반이 없다는 거예요. 지금 제가 말하고 있는 중에 열반이에요. 공空이 말을 한들, 말도 공이죠. 공이 웃고 울고 떠든들 그 자체도 공이죠. 이런 줄 알고 사실 수 있겠어요? 그럼 세속에 살아도 세속에 안 걸려요. 이 우주 전체를 공으로 봐 버리는 겁니다. '몰라!'만 하시면 돼요. - 홍익학당 홈페이지 (🤍) - 문의전화 02-322-2537 - 홍익학당 후원하기 국민은행 879601-01-245696 (흥여회) 본 동영상은 흥여회 후원으로 만들어지고 있습니다. 많은 사람들에게 알릴 수 있게 도와주신 '흥여회원' 분들께 감사드립니다.
윤회에서 벗어난 영원한 행복의 상태를 열반이라고 합니다. 대승경전에서는 '우리는 원래 부처였고, 부처이기 때문에 우리는 원래 청정한 상태이며 지금 이 순간 열반의 상태다'라고 말하고 있는데요. 그래서 수행은 중생이 부처가 되는 것이 아닌 원래 부처였던 중생이 부처처럼 완벽한 행을 드러내는 것이라고 합니다. 불교에서 말하는 열반에 대해 광우스님의 법문으로 들어봅니다. #광우스님 #열반 #윤회 ●BTN 붓다회 가입 1855-0108(정기후원) 불자여러분의 정기후원이 부처님법을 널리 홍포하는데 큰 힘이 됩니다
#명상 #자현스님 #현성법신현법열반 '자현스님의 쏘댕기기' 채널은 여러분의 후원으로 제작되고 있습니다. CMS 후원계좌: 신한 100-028-797247 대한불교조계종 영평선원 🤍 * 1만원 이상 후원자는 매월 초하루에 영평선원에서 축원해 드립니다. 영상포교 법공양 후원: 1편 제작비 30만원 동영상 말미에 후원자에 대한 축원이 들어갑니다. 동참 방법: CMS 후원계좌에 후원자 이름으로 입금 * 문의: 010-8554-0220 * 네이버 밴드 쏘댕기기: band.us/🤍kumarajiva 맴버십도 많이 가입해 주서요... 🤍
▶(영상제공:BBS취재팀 영상제작:뉴미디어) [불교계 유일, 비영리재단이 운영하는 공익방송 BBS불교방송입니다!] 📌후원하기(만공회) 가입 🤍 📌후원하기(만공회) 전화 1855-3000 *불교방송의 모든 컨텐츠는 여러분의 후원과 발원으로 만들어집니다. ▶ BBS불교방송Buddhist Broadcasting System 1990년 5월 1일 지상파라디오방송 개국 2008년 불교전문 BBSTV 개국 만공회 후원(보시)와 방송광고수입을 방송포교불사로 환원하는 불교계 유일의 비영리재단 ‘공익방송’ ▶ BBS 불교방송을 만나는 더 다양한 방법! 앱 다운로드: 구글 플레이스토어, 아이폰 앱스토어 홈페이지: 🤍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연계채널: 불교방송NEWS, 보이는라디오, BBS플러스, 닥잠
묘장스님의 ‘알’고보면 ‘쓸’모있는 ‘불’교상식 이번 시간은 ‘부처님 열반’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제가 좋아하는 프로그램이 있어요. 유튜브에서 책을 대신 읽어주는 프로그램. 이번에 불교에 대한 이야기를 다뤘는데 ‘부처님께서 설사로 돌아가셨다’ 이렇게 표현이 되었습니다. 그 표현이 잘못되었느냐? 크게 잘못되지는 않았습니다. 하지만 상징적 의미들이 있거든요. 그것에 대해 좀 더 자세히 풀어보도록 하겠습니다. #불교신문TV #묘장스님 #알쓸불 여러분의 ‘구독’과 ‘좋아요’ ‘댓글’은 부처님 법을 전하는 좋은 벗 ‘전법도반’입니다. 더욱 다양한 불교콘텐츠를 즐기고 싶다면 불교신문( 🤍 )으로 찾아오세요. 감사합니다. [알쓸불] #부처님열반, #부처님 열반의 올바른 이해, #부처님의 마지막 공양, #쭌다의 공양, #묘장스님, #묘장스님의 알쓸불, #불교신문TV
● 공연명: 新, 들림 (국립국악관현악단 제 56회 정기연주회) ● 공연일자: 2012년 9월 21일(금) 오후 8시, 9월 22일(토) 오후 4시 ● 공연장소: 국립극장 해오름 '열반(涅槃)' - 지휘: 원일 (Conductor: Won Il) - 연주: 국립국악관현악단 (National Orchestra of Korea) - 작곡: 김대성 (Composer: Dae-sung Kim) - 출연: 강권순, 이선경, 안정아, 김희영(여창가곡) (Performer: Gwon-soon Kang, Sun-kyoung Lee, Jung-a An, Hui-young Kim) - 이 곡은 범패(불교음악)와 서도민요를 연구하면서 받은 영감을 바탕으로 작곡한 곡이다. 또한 일본의 ‘신악’과 가가꾸 중 고마가꾸의 선율들에서도 영향을 받았다. 곡에 나타나는 여러 선율을 담아내는 그릇으로 경기도의 무속장단을 사용하였으며 이 장단은 원형대로 사용하지 않고 선율과 마찬가지로 많은 변화를 주었다. 이러한 여러 음악양식들을 통해 우리 고대음악의 특징을 찾아보고자 하였으며, 인간 내면 속에서 오래 전부터 흘러왔던 종교적인 갈등과 인간적인 번뇌, 해탈에 대한 열망 등을 표현해 보고자 하였다. 이번 무대에서는 4명의 여창가곡이 포함된 곡으로 개작 초연된다. - 'Nirvana' was inspired by studying Buddist music and folk songs of northwestern Korea. It was also influenced by the melodies of komagaku from the repertory of Japanese gagaku court music. The rhythmic cycles of shamanistic music from Gyenggido Province are used as a vessel to contain the various melodies that appear in the work, transforming them radically. Through these diverse musical styles, the characteristics of ancient Korean music can be found, while the work aims to express the religious conflicts and anxieties and the longing for release that lie within the human heart.
더 많은 동영상과 자료가 ‘초기불전연구원 유튜브 채널, 초기불전연구원 다음 카페, 초기불전연구원 홈페이지’에 있습니다. 초기불전연구원 유튜브 채널 🤍 초기불전연구원 다음 카페 🤍 초기불전연구원 홈페이지 🤍 #청정도론 #각묵스님 #초기불교
부처님 4대 성지 열반하신 곳 쿠시나가라 석가모니 부처님이 열반에 드신 곳(B.C. 541. 2. 15). 부처님은 왕사성을 떠나 최후의 땅인 쿠시나가라로 향한다. 쿠시나가라 근처이 마을에서 부처님은 대장장이의 아들 춘다의 버섯 공양을 받고 중병에 걸린다. 부처님은 사라나무 숲으로 들어가 아난다에게 자리를 깔게 했다. 그리고 오른쪽 옆구리를 아래로 두고 발 위에 발을 포갠 자세를 취한 다음 선정에 들아간 채로 열반에 들었다. 제자들에게 남긴 최후의 유계(遺戒)는 모든 것은 무상하니 방일하지 말고 정진하라는 말이다. [네이버 지식백과] 쿠시나가라 (문화원형 용어사전, 2012.)
(영상제공:BBS김동규/제작:뉴미디어) 벅차오르는 이곳!!! 열반의 성지 쿠시나가르 (부처님께 가는 길) #열반당의부처님 ▶BBS불교방송 Buddhist Broadcasting System 1990년 5월 1일 지상파라디오방송 개국/ 2008년 불교전문 BBSTV 개국 [불교계 유일, 비영리재단이 운영하는 공익방송 BBS불교방송입니다!] 만공회 후원(보시)와 방송광고수입을 방송포교불사로 환원하는 불교계 유일의 비영리재단 ‘공익방송' ▶불교방송 유튜브 구독하기 : 🤍 ▶불교방송 후원 '만공회' 가입하기 🤍 ▶한국불교의 미래를 만드는 방송포교후원 동참 발원 1855-3000 (가입문의 / BBS 후원상담실) ▶ BBS 불교방송을 만나는 더 다양한 방법! 앱 다운로드 : 구글 플레이스토어, 아이폰 앱스토어 홈페이지: 🤍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연계채널: 불교방송NEWS, 보이는라디오, BBS플러스, 닥잠
안녕하세요? 도시열반의 '슈퍼해머'입니다.🙏 *영상으로 부족한 부분을 글로 정리 했습니다.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이 영상은 '도시열반'이라는 채널을 개설하게 된 계기에 대해서 말씀드립니다. 이 영상은 제가 유튜브 채널 시작할 때 제작을 했었는데 자막에 오타도 많고 길이가 너무 길어서 재 편집한 [도시열반 7강] 을 참고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본 영상은 [도시열반 7강]보다 조금 더 디테일하고 더 많은 내용이 들어가 있습니다.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바로가기 목차 0:35 나의 깨달음의 과정_나의 성향 성격 7:36 나의 환경 16:18 10년 공부, 3650일 긴 여정의 시작 21:11 1단계. 지식습득(독서) 26:31 2단계. 경험과 체험 31:55 3단계. 진리 영적 공부와 혼자만의 시간을 통한 온전한 자각의 시간들 38:16 10년 공부에 대한 정리 40:50 논어 '위정편' 각 나이대에 깨달아야 할 것들 45:22 도시열반의 탄생 그리고 시작 네이버 블로그 🤍 E mail : jazz3042🤍naver.com #지혜#깨달음#통찰력#열반#불교#불교교리#철학#인문학#인문철학
👉붓다나라 팟빵 : 🤍 👉붓다나라 카페 : 🤍 불교의 열반, 잘 알고 계십니까? 여기 이중표 교수님의 말씀을 한 번 들어보시죠^^ 😃붓다나라 후원계좌 : KB국민은행 816901-04-274456 불교신행공동체 붓다나라😄 #이중표 #열반 #불교 #부처 #맛지마니까야
#상월결사 #인도순례 #열반재일 ●BTN불교TV 유튜브 구독하기 🤍 (링크 누르고 구독 버튼 클릭!)
깨달음, 상락아정, 열반이 어떤 상태인지 인터넷으로 검색해 보았습니다. 그리고 열반의 정의에 대해서도 불자들 사이에서 의견이 분분 합니다. 열반의 상태가 정확히 어떤 것인지 불멸2권 178번째 질문에 대해 이각 큰스님께서는 어떤 말씀을 해주셨는지 알아봅니다. - 해당영상은 [지혜의눈] 출판사로부터 낭독 허락을 받고 제작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제목 - 불멸2 ▶️지은이 - 이각스님 ▶️책보러 가기~예스24 🤍 🤍 ▶️이 책은 영원히 사라지지 않는 정신의 위대함을 밝히고, 나아가 세계와 정신의 동일성을 증명하는 전(全) 우주적인 설명서이다. 죽지 않는 당신의 정신에 대하여, 그리고 사라지지 않는 허공의 위대함에 대하여 낱낱이 밝혀 낸 이 보배로운 글을 읽고 당신은 마지막 책장을 덮으며 반드시 말할 것이다. "불멸(不滅)" ▶️ 자세한 내용을 알고 싶으시다면.... 보리수 홈페이지 : 🤍 불교카페 혜안 : 🤍 도각사 라디오 : 🤍 #이각스님 #불멸 #IMMORTALITY #도각사 #지혜의눈 #혜안 #지혜의소리
#틱낫한스님열반#틱낫한스님입적#틱낫한스님법문 세계의 존경을 받는 불교의 큰 스님이자 살아있는 부처로 칭송받는 틱낫한 스님이 돌아가셨습니다 개인적으로 존경하는 마음을 담아 그의 삶을 돌아보고 그 분에 대해 정리해보는 시간을 가져보고 싶어서 만들어 본 컨텐츠입니다 틱낫한스님이 좋아해주시면 행복할 것 같네요 🙏본 내용에서 언급한 꼭 봐주셨으면 하는 틱낫한 스님의 스승 틱광득스님에 관한 영상🙏 🤍 🙏틱낫한스님의 장례식을 볼 수 있는 링크 🙏 🤍 🔴스타씨드 인스타그램 (감성적힐링글귀) 🤍 🔴상담&코칭문의 🤍 🔴이메일 westarseed🤍gmail.com
한국불교의 시대정신. 출가 스님과 재가 신도의 신행에 관한 현실에 맞는 고민. 한국불교의 비판과 대안. 명상의 의미와 기도의 원리와 방법. #빛고운절 #무진스님 #shorts
영축총림 통도사가 ‘벽안당 법인대종사 열반 29주기 추모 다례재’를 봉행했습니다. 통도사는 어제 방장 원명스님, 주지 영배스님, 문도대표 법륜사.. BTN불교TV | 01-05
#신묘장구대다라니 #인도순례 #상월결사 ●BTN불교TV 유튜브 구독하기 🤍 (링크 누르고 구독 버튼 클릭!)
☝'좋아요'와 댓글은 학당 영상이 퍼지는데 많은 도움이 됩니다~ - 홍익학당 교육과정 안내:🤍 - 홍익학당 공식홈페이지:🤍 - 홍익학당 네이버 카페:🤍 - 홍익학당 네이버 쇼핑몰: 🤍 ⊙ 홍익학당 유튜브: 🤍 ◈ 홍익학당 후원안내 ◈ - 홍익학당/흥여회 후원안내 : 🤍 - 흥여회 가입안내 : 🤍 - 홍익학당 후원계좌 : 국민은행 879601-01-245696 (흥여회) - 문의 : 02-322-2537 / help🤍hihd.co.kr - ARS 후원 : 1877-1974 - 'SUPER THANKS' 기능이 추가 되었습니다. 영상 하단 'Thanks' 버튼을 눌러주세요.♥ 본 동영상은 흥여회 후원으로 만들어지고 있습니다. 많은 사람들에게 알릴 수 있게 도와주신 '흥여회원' 분들께 감사드립니다. #양심 #윤홍식 #홍익학당 #열반 #참나 #순수의식 #참자아 #카르마 #인과 #순자 #에고 #성품 #성악설 #교화 #유교 #공자 #희로애락 #미발 #中 #천하지대본
#원빈스님 #금강경 #법문 ●BTN불교TV 유튜브 구독하기 🤍 (링크 누르고 구독 버튼 클릭!) ●BTN불교TV는? BTN불교TV(주)는 25년의 시간 동안 부처님의 법음을 널리 홍포해온 한국을 대표하는 불교방송국입니다. 불자님들의 소중한 후원금과 광고수입은 더 나은 방송 포교와 불교문화 진흥, 다양한 컨텐츠를 제작하는데 사용되고 있습니다. BTN은 앞으로도 방송 포교사의 소임을 다하겠습니다. ●BTN불교TV 채널번호 안내 IPTV: KTolleh:233번, SK B TV:305번, LGU+TV:275번(전국공통) SKYLIFE: 181번(전국공통) 지역케이블: 케이블 가입자의 경우 BTN채널번호가 지역별로 달라서 아래 주소를 클릭하셔서 확인하시면 됩니다 🤍 ●다양한 경로로 BTN불교TV를 만나보세요! 홈페이지:🤍 유튜브:🤍 페이스북:🤍 블로그:🤍 카카오스토리:🤍
이제 광우스님의 소나무를 매일 저녁 9시에 만나세요~! 여러분들의 성원에 힘입어 광우스님의 소나무 시즌1 전편을 매일매일 평일 저녁에 정규방송합니다. 정규방송 후에는 언제든지 BTN조이 채널에 들어와서 다시 시청하실 수 있습니다. 광우스님의 소나무와 함께 하셔서, 복과 선업과 공덕이 이끄는 진정한 행복의 길로 들어서세요^ㅇ^ #광우스님 #소나무 #신심나는불교 ● BTN조이 유튜브 구독하기 🤍 (링크 누르고 구독 버튼 클릭!) ● BTN조이 정기후원하기 🤍 (링크 누르고 가입 신청) ● BTN조이는 여러분의 후원수익으로 운영됩니다. 새로운 불교! 즐거운 불교! 가 되도록 적극적인 보시 부탁드립니다. (후원계좌 국민은행 782737 - 04 - 002577 예금주: 불교텔레비전) 🙏BTN조이의 인스타그램 👉🤍 🙏BTN조이의 페이스북 👉🤍 ↓ 후원 문의 및 광고제안 방법 tnsdus🤍btn.co.kr ↓ 쇼핑도 하고 후원도 하고 🤍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BTN조이(불교조이) 참 좋은 인연💜 도반에게 공유해주시면 공덕지수 up!! 😍🤍
#붓다의메아리 #계환스님 #열반의가르침 [진리의 말씀] 🤍 [생활법문] 🤍 [ 붓다의메아리TV 정회원(멤버십) 가입하기 ] 채널 정회원(멤버십)에 가입하면 광고가 없는 동영상을 시청할 수 있습니다. [ 대승과정 ] [ 불교문화과정 ] [ 각성스님 강해과정 ] [ 정회원 가입 순서 ] 🤍 [ 붓다의 메아리 후원계좌 ] 불자님의 후원은 여러분의 불교 공부에 많은 도움이 됩니다. 붓다의메아리 소장 자료를 업로드 할 수 있도록 정기적 후원 부탁드립니다. 국민은행 115-01-0323-335 붓다의 메아리 [붓다의 메아리 탄생 이야기] 붓다의 메아리는 1986년 범어사 문장 능가큰스님의 ‘7일간의 법화경 강설(장소: 새마당예식장 예식실)’을 영상으로 촬영 제작하게 된 것이 시청각포교의 시발점이 되었다. 이후 부산의 양정 불교회관에 ‘시청각포교원 붓다의 메아리’란 이름으로 사무실 겸 편집실을 두고 카세트테이프에 스님 법사님들의 음성을 담아 우편으로 불교도들에게 보내게 되었고(회원 약 5,000명) , 286 도스 컴퓨터를 도입하였고, 다가올 인터넷 포교 시대를 대비하여 자료를 제작하고 수집하였다. 그리하여 부산 시내 각 사찰의 행사 및 법회에 참석하여 법문 녹음 및 녹화를 계속하였으며 많은 분들에게 법음을 전하려고 무진 애를 쓰기도 했다. 인터넷시대와 스마트 폰 시대를 맞아 금세기에 남기기 힘들 경전강의를 영상으로 남기게 된 것을 천만 다행으로 생각하며 다행히도 블러그와 유튜브 매체를 통하여 불교를 전하게 된 것은 다행으로 생각한다. 후세에 불교를 올바르게 공부하기 바라는 불교도에게 많은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바램이다. 주옥같은 강해를 해주신 원조각성스님께 감사드리며 강해 내용을 그때(90년대) 보다좋은 영상으로 남기게 해 주신 양진목 거사님에게 다시 한 번 감사드린다. 붓다의 메아리 도휴(道休) 합장